존스홉킨스 전 입학사정관이 말하는 24/25 존홉 에세이 작성법
I often use the analogy of the hotel doorman. Imagine you’re approaching an elite hotel or residence, but before you can go in, the doorman asks you: 'What’s the reason for your visit and why should we let you in?'
Jeremy Parks, Crimson Education Johns Hopkins FAO
존스 홉킨스 대학교(JHU)에 진학을 희망한다면 JHU 입학사정관이 요구하는 것을 Supplementary Essay (보충 에세이)에서 실수없이 전달해야합니다. 존스 홉킨스대의 입학률은 7% 정도로 지원자들 중에서 정말 stand out 해야 하죠. 입시 프로세스에서 에세이는 고유하고 본인을 가장 어필할 수 있는 역할을 진행하기에 JHU 에세이 지문을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세우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 입학사정관인 Jeremy Parks가 직접 작성한 존스 홉킨스 에세이 인사이트와 입학사정관으로 지내며 겪은 경험들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존스홉킨스 입학사정관의 관점
존스홉킨스의 입학사정관들은 에세이에서 무엇을 찾을까요? 제 JHU 관점에서 존홉 입학사정관들이 보충 에세이를 읽을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네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팁 1
JHU가 개인적으로 그리고 학문적으로 여러분에게 중요한 진정하고 타당한 이유를 보고 싶어합니다. 에세이의 전반적인 목표는 여러분과 존스홉킨스 사이의 설득력 있는 관계를 만드는 것이어야해요. 여러분의 에세이는 여러분의 목소리와 관점을 담아내는 글쓰기로 명확한 내러티브를 가져야 하며, 여러분의 개인적인 이야기와 존스홉킨스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 사이의 강한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여러분의 삶의 경험, 관점, 가치관 중 존스홉킨스에 다니고자 하는 가장 설득력 있는 동기와 공명하는 측면을 강조하고 싶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JHU와 비슷한 좋은 대학이 아닌, 특별히 JHU에 말이죠.
에세이의 첫 번째 줄기는 기억에 남고 관련성 있는 개인적인 주제를 식별하고 그것들이 에세이 내러티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팁2
여러분 인생 이야기의 중요한 영역을 특별히 JHU와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는 입학사정관들이 여러분이 JHU에 대해 정말로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보고 싶어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면적인 학교 특징이나 단순 구글 검색을 넘어서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 JHU의 정체성과 핵심 가치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홉킨스가 35년 또는 40년 동안 매년 세계에서 학술 연구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하는 기관이라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 여러분의 관심사와 포부와 매우 구체적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특정 프로그램이 있나요?
JHU의 핵심 가치, 제공 사항, 자원에 대한 이 수준의 친숙도로 연결고리를 만듦으로써, 여러분은 입학사정관들에게 정말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학교에 대한 여러분의 지식 수준과 JHU에 다니고자 하는 진정으로 설득력 있는 동기를 조명함으로써 말이죠.
이 단계를 잘 수행하려면 반드시 "연구"를 해야 합니다!
- 학교를 방문하고 투어를 해보세요.
- 관심 있는 프로그램의 교수진과 대화하거나 인터뷰를 해보거나 최근 졸업생들로부터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해보세요.
- 관련 교수진을 몇 명 조사하여 가장 최근의 관심사와 전문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 학교 직원과 교수진, 그리고/또는 학교 동문들과 대화하여 그들의 내부자 통찰력을 들어보세요.
팁 3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입학사정관들은 글쓰기 샘플이나 학술 에세이가 아닌 개인적인 것을 원합니다. 보충 에세이에서 존스홉킨스는 여러분을 알고 싶어 하며, 성적 증명서, 시험 점수, 활동 목록으로는 전달할 수 없는 여러분의 성격, 관점, 가치관의 측면을 알고 싶어 합니다. 이는 보충 에세이에 학술 에세이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톤, 스타일, 관점은 여러분의 목소리, 성격, 개인적인 관점을 진정성 있게 전달해야 합니다.
At JHU we very much want you to talk about yourself the way you want to. If you do that in an effective way, it’s going to sound genuine and help you tie together your story and your college journey, and we don’t care if you’re using colloquial wording or a conversational style.
Jeremy Parks, Crimson Education JHU FAO
사실, 대화체와 구어체 톤과 스타일은 여러분이 누구인지 전달하는 데 필수적일 가능성이 높으며, 존스홉킨스에서는 더 개인적인 목소리와 관점으로 글을 쓰는 것이 완전히 허용됩니다. 독자들은 여러분의 목표와 관심사를 배우는 동시에 여러분을 한 사람으로 알고 싶어 합니다. 에세이에서 여러분의 성격, 가치관, 관점의 그림을 그려보세요 . 그것이 삶에 대한 독특한 견해이든, 매력적인 유머 감각이든, 특별한 열정이나 결단력이든 또는 여러분을 여러분답게 만드는 어떤 것이든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세요, 목소리와 스타일의 주관적인 요소에 너무 빠져들지 마세요. 성격의 특이성이 중요한 성찰과 통찰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목소리와 관점이 드러나야 하지만, 내용, 주제, 아이디어는 입학 맥락과 매우 관련이 있어야 하며, 에세이 형식과 구조가 여러분 내러티브의 가장 중요한 요소를 뒷받침해야 합니다.
팁 4
여러분의 에세이가 학문적 관심사와 목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마이너스가 아닙니다. JHU의 입학사정관들이 보충 에세이를 통해 여러분이 어떤 사람인지 전달하기를 원하지만, 에세이의 핵심 주제가 학문적 주제와 관심사, 또는 직업적 목표와 관심사를 탐구하는 것이어도 괜찮습니다.
I’ve read a lot of essays and even managed our FAO team sometimes and one thing I’ve come away with that’s so different for Johns Hopkins is that it’s okay to be a bit more academic. Generally I don’t advise doing that, but at Johns Hopkins it certainly was more acceptable when I was reading there to have an academic lens into your essay. Maybe it's not entirely explaining why you’re competitive or valid for this university, but it could be using a story to help explain where that comes through.
-Jeremy Parks, Crimson Education JHU FAO
존스홉킨스 에세이 작성 시 돋보이기 위한 팁
개인적인 목소리와 내면의 성찰이 에세이에 녹이기
진실되고 진정성 있는 개인적인 목소리와 관점을 에세이에 녹여내는 것이 여러분의 프로필을 기억에 남게 만드는 핵심입니다. 여러분의 삶의 이야기, 학업 여정, 그리고 JHU에서의 학습에 대해 여러분이 부여하는 중요성을 연결하는 경험과 성찰을 보여줌으로써, 여러분의 에세이가 돋보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원자들은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자격과 성과를 입학사정관들에게 얼마나 열심히 과시하려 하는지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는 성적 증명서와 과외 활동 목록의 역할이기에 실제로 글쓰기의 목적이 아닙니다.
보여주기(말하지 않기)
여러분의 삶에서 의미 있는 설득력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흥미로운 성찰을 탐구할 때, 우리는 그것이 미래의 존스 홉킨스 대학교(JHU) 학생으로서의 잠재력, 성숙도, 능력 등에 대해 무엇을 전달하는지 행간을 읽을 수 있습니다. 저는 때때로 거북이와 토끼 이야기를 예로 듭니다. 여러분은 단지 이야기를 강력한 방식으로 전달하기만 하면 됩니다. JHU의 입학사정관들은 여러분의 의미를 이해하고 더 큰 중요성을 파악할 것입니다.
일관된 지원자 프로필 구축하기
여러분의 에세이는 다른 지원 요소들에서 나타나는 지원자 프로필과 보완되며 의미 있는 방식으로 확장되도록 신중하게 구성되어야 합니다.에세이 서사는 시험 점수, 과외 활동, JHU 지원 동기의 기반이 되는 열정, 성격, 그리고 개인적 성찰과 성장의 궤적을 드러내야 하며, 이는 대학 입학부터 재학 중, 그리고 그 이후의 더 큰 포부의 여정에서 JHU의 위치를 포함해야 합니다.
Thematic consistency is a core tenant… When I would go into a committee room after the first read, the essays that made it through the first round — the regional evaluations — get read along with essays and applications from other regions around the world. Your story not only needs to be impressive and memorable enough to stand out among other applicants in your own community, but remain memorable at this next level too.
Jeremy Parks, Crimson Education FAO
JHU와의 강한 적합성
보충 에세이가 명확하고 통일된 서사적 초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야기를 JHU의 매력적인 특징들과 연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여기에는 JHU의 독특한 학문적, 공동체적 생활의 특징이나 유명한 프로그램, 매우 특별한 교수진의 전문 분야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왜 다른 어떤 곳도 아닌 JHU인지 이유를 보여주어야 합니다.

존스홉킨스 에세이 작성 시 피해야 할 일반적인 실수는 무엇인가요?
보충 에세이를 "자신을 증명하는" 데 사용하지 마세요.
학생들이 에세이에서 자격을 명시하려고 너무 노력하여 글이 이력서처럼 되거나 성적, 시험 점수, 과외 활동 목록에서 이미 알 수 있는 내용을 너무 많이 반복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이는 학생들이 주장을 하고, 그것이 사실인 이유를 나열하는 등의 5단락 에세이 형식과 같은 설득력 있는 글쓰기 훈련을 많이 받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대신, 여러분의 에세이가 왜 여러분이 특별하고 다른 사람들과 다른지, 그리고 여러분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어떻게 학업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창의적"이 되지 마세요.
여러분의 에세이가 자신의 개인적인 면모와 개인적인 여정을 반영하기를 원하지만, 단순히 "다르게" 또는 "독창적"이기 위해 창의적인 접근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개성적인 특징이나 창의적인 밈을 보여주는 것이 에세이의 요점은 아닙니다.
지나치게 난해하거나 복잡한 주제는 피하세요.
체스 실력이나 고전 그리스어에 대한 집착을 자세히 다루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 있지만, 에세이의 형식과 주제가 입학 맥락과 정말 관련이 있고, 접근하기 쉬우며, 시간에 쫓기는 독자들이 너무 많은 해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JHU 에세이 예시
Tell us about an aspect of your identity (e.g. race, gender, sexuality, religion, community, etc.) or an experience that has shaped you and how that influenced what you’d like to pursue at Hopkins.
When taking Abnormal Psychology freshman year, I was fascinated to learn that my family’s stoic attitude under stress stems from culture’s influence on human behavior. When the course concluded, I hungered to learn more. Sunlit days crept into moonlit nights as I learned from Google Scholar that culture impacts visual perception (that’s why East Asian websites are more “cluttered” than Western ones) and influences decision-making (i.e. through a focus on either collectivism or individualism). Some cultures even have unique disorders, like ataque de nervios, a panic disorder in Latinx patients. I fell in love with reading about culture influencing cognition and diving into the science that explained it.
My fascination led me to conduct two independent studies assessing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ntal health apps and the cultural elements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 I was mesmerized by case studies like one about a Japanese woman, “M,” who was misdiagnosed with depression instead of adult separation anxiety because her psychiatrists didn’t factor in the cultural context of her immigration story.
At Hopkins, I’d love to double major in Cognitive Science and Medicine, Science, and Humanities. I’m excited to take “Bodies in Flux: Medicine, Gender, and Sexuality in the Modern Middle East” because I’m fascinated by decolonial theory and the intersections between science, health, and culture. I’d also love to take “Cognitive Science in Artificial Intelligence,” since I’m deeply passionate about the biases embedd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way cognitive science can support the creation of ethical technology.
My sister—a sophomore at Hopkins—raves about the ease of getting involved in research. One of my long-term goals is to use insights from cultural cognition to reimagine the value systems behind medicine and technology to make them more equitable, so I’d be honored to work with Professor Yulia Frumer. I’d love to learn about the role of cognition and emotions in technological decision-making and how class and gender biases affect design choices.
마지막 단계: 에세이 다듬기
자신의 존스 홉킨스 보충 에세이에 접근하는 방식이 어떻든 간에, 전체 글쓰기 과정과 각 단계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에세이를 다듬는 것은 학술 에세이를 작성할 때와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블로그 포스트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고 진정성을 유지하며, 수정 및 교정 단계에서 외부 독자에게 피드백을 받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JHU가 대화체 스타일과 개인적 관점을 사용하는 에세이에 대해 괜찮다고 해서, 그 에세이가 일관성이나 관련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스타일, 개인적 이야기, 학문적 포부가 효과적이고 강력하게 기억에 남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존스홉킨스 2024년 보충 에세이 프롬프트는 충분히 간단하지만, 이제 여러분은 JHU 에세이가 정말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도록 하는 많은 미묘한 방법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에세이는 학술 에세이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개인적인 내러티브나 성찰적 에세이의 형식을 사용하여 자신을 소개하고 여러분 인생 이야기의 형성적 측면을 JHU가 여러분의 최고의 선택인 이유와 연결해야 합니다.
다른 상위권 지원자들 사이에서 돋보이기 위해 더 많은 도움과 전문가의 통찰력이 필요하다면, Crimson Education은 전문가 에세이 리뷰 및 멘토링 서비스를 포함한 총체적이고 개인화된, 입증된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전 세계 최고의 기관들로부터 입학 제안을 받는 데 도움을 주는 우리의 포괄적인 접근 방식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는 것도 쉽습니다. 존스홉킨스나 다른 상위권 학교에서의 합격 확률을 높여보세요.